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하여 수급권자에게 지급되는 유족급여의 공제방법
대법원 2009. 5. 21. 선고 2008다13104판결
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로 사망함에 따라 근로복지공단이 구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유족급여를 수급권자에게 지급하였다 하더라도, 수급권자가 아닌 망인의 공동상속인들이 상속한 손해배상채권과 그 유족급여의 수급권은 그 귀속주체가 서로 상이하여 상호보완적 관계를 인정할 수 없으므로, 수급권자에 대한 유족급여의 지급으로써 그 수급권자가 아닌 다른 공동상속인들에 대한 보험가입자의 손해배상책임까지 같은 법 제48조 제2항에 의하여 당연히 소멸된다고 볼 수는 없다.
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로 사망함에 따라 발생하는 망인의 일실수입 상당 손해배상채권은 모두가 그 공동상속인들에게 각자의 상속분 비율에 따라 공동상속되고, 근로복지공단이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하여 수급권자에게 지급하는 유족급여는 당해 수급권자가 상속한 일실수입 상당 손해배상채권을 한도로 하여 그 손해배상채권에서만 공제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하고, 이와 달리 망인의 일실수입 상당 손해배상채권에서 유족급여를 먼저 공제한 후 그 나머지 손해배상채권을 공동상속인들이 각자의 상속분 비율에 따라 공동상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것은 아니라고 판시하였다.
'판례 > 인사노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임금실태 조사보고서의 기준시기 (0) | 2016.08.30 |
---|---|
감시단속적 근로자 (0) | 2013.04.11 |
시간외 수당에 관한 판례 (0) | 2012.08.23 |
한전 검침업무나 전기요금청구서 송달업무 중 일부를 수행한 자의 퇴직금 청구 (0) | 2011.12.07 |